‘족저근막’은 발꿈치뼈에서 발바닥 앞쪽으로 이어지는 두껍고 강한 섬유띠를 말하는데, 발의 둥근 아치 형태를 유지해 주며 체중의 하중을 지탱하고 걷거나 활동 시 생기는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족저근막염은 오래 걷기 등으로 발바닥 부위의 두꺼운 섬유띠인 ‘족저근막’에 무리가 가해지면서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등산, 달리기 등을 무리하게 하거나 하이힐, 플랫슈즈, 밑창이 딱딱한 구두 등을 신고 오래 걸으면 발생할 수 있다.
족저근막염은 운동선수에게 흔한데, 스포츠 인구가 늘면서 일반인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족저근막염(발바닥근막성 섬유종증) 환자는 2022년 27만1850명으로 2012년 13만8583명 대비 10년간 약 2배 증가했다. 평균 발병 연령은 45세 내외,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가량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족저근막염이 생기면 처음에는 통증이 그리 심하지 않은 편이지만 상태가 악화되면 통증이 악화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잠을 자고 일어나 아침에 처음 발을 디뎠을 때 발바닥에 매우 강한 통증이 나타나고 이후 활동을 이어가면 통증이 잦아드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양상은 잠을 자는 동안에 족저근막이 수축해 있다가 아침에 활동을 하면서 급격하게 이완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사실 족저근막염이 있더라도 발을 쉬게 하기 위해 아예 걷지 않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다행히 족저근막염은 환자의 90% 이상이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며, 수술적 치료는 거의 필요 없다. 하지만 염증이 한번 생기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도 많고 만성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족저근막은 보통 밤새 수축돼 있다가 아침에 급격히 이완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데, 보조기를 사용해 족저근막을 이완된 상태로 유지해주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또 일상 속에서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함께 하면 도움이 된다.
인본병원 부천상동점 김진경 원장은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려면 발바닥이 받는 부담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쿠션감 있는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뒤꿈치 부분에 쿠션이 있는 운동화를 신어야 한다. 만약 충격이 잘 흡수되지 않는 신발을 신었다면 가급적 오래 걷거나 달리는 것을 삼가고, 걸을 때도 뒤꿈치부터 발바닥, 발가락 순으로 이어지도록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기사원문 :
https://mdtoday.co.kr/news/view/1065605938515607
춡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