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최민석 기자] 근골격계 질환은 신체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스포츠 부상, 외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평소 잘못된 생활 습관도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해당 질환들을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더 심해지거나 나중에는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퇴행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가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2년 퇴행성 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417만8974명이었다. 이는 2019년 이어 3년 만에 다시 400만명을 넘어섰으며, 그 중 60세 이상 환자가 83.5%를 차지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통증과 함께 기능장애,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 다리의 휜 정도나 관절의 마모도 등에 따라 치료법도 다양하게 작용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통증과 함께 무릎이 붓는 것이다. 흔히 무릎에 물이 찬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바로 이 경우다. 또 무릎에 뭔가 끼어 있는 것 같은 느낌과 함께 앉았다 일어설 경우, 방향을 전환할 때 뼈끼리 부딪히면서 걸리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무릎에서 ‘사각사각’ 또는 ‘드드득’ 같이 갈리는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연골이 마모되어 매끄럽지 못한 표면을 가진 관절면끼리 접촉하면서 나는 소리다.
무릎관절은 다른 관절보다 사용빈도가 높은 만큼 손상의 위험도 높고, 한 번 손상되면 온전한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증상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본병원 부천상동점 김태호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대체로 무릎 주위에 통증이 나타나면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기보다 찜질, 마사지 또는 파스 등을 활용해 통증이 완화되길 바라는 경우가 많다. 일시적인 통증의 경우 이러한 방법으로 증상이 완화될 수 있지만, 질환으로 인한 통증의 경우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키고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며 “평소에 적절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고, 양반 다리나 쪼그려 앉기처럼 무릎에 부담을 주는 자세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