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는 낮은 온도로 인해 관절이나 근육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미끄러운 환경에서의 운동이나,
불안정한 자세로 발목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면 아킬레스건염 발생률이 높아진다.
이러한 부상은 종종 운동 후 충분한 회복을 하지 않거나, 잘못된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아킬레스건은 발뒤꿈치와 종아리를 연결하는 강한 섬유조직으로 걷기나 뛰기, 점프 등 다양한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인대는 신체의 가장 강한 인대 중 하나지만, 과도한 사용이나 부적절한 운동 습관으로 인해 손상되면 아킬레스건염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질환은 스포츠 활동이 활발한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하며, 특히 겨울철 스포츠에서 무릎과 발목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하면서 발병률이 높아진다.
주로 과사용, 부적절한 운동 습관, 신발의 불편함, 과체중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운동을 시작할 때 충분한 준비 운동 없이 갑작스럽게 강도 높은 운동을 하거나, 오래된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평평한 신발이나 굽이 높은 신발을 착용하는 것도 아킬레스건에 부담을 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염증 초기에는 운동이나 활동 후 통증이 나타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이 지속적으로 느껴진다.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나 장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운동을 지속할수록 악화되며,
심한 경우 걷는 것조차 힘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시작되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치료 초기 단계에서는 물리치료, 주사치료, 약물치료 등의 비수술적 방법을 진행해볼 수 있다.
아킬레스건이 파열됐거나 염증이 만성화돼 비수술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심각한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염증이 심한 부위를 제거하는 재건술이나 봉합술로 진행된다.
부천 인본병원 김진경 원장은 "아킬레스건염은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뤄지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뒤꿈치 부위의 통증이 나타날 경우 즉시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